호국과 민주화 정신이 숭고한 ‘남원’
  • 우용원 편집국장
  • 승인 2021.06.12 21:3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최경식 자치분권위원회 자치혁신전문위원회 위원
최경식

6월은 나라를 위해 목숨을 바친 호국 영령들을 기리는 호국보훈의 달이다. 코로나 19의 어려움 속에서도 나라를 지키기 위해 애를 썼던 순국선열에 감사하는 마음이 살아있는 것이다.

남원은 역사적 시련이 많은 고장이었다. 특히 정유재란에 남원성은 전략적 요충지로서 남원성이 무너지면 호남, 나아가서는 조선 전체가 무너지는 상황이라 왜군의 공격을 반드시 막아야 하는 방어선이었다. 하지만 명나라 장수 양원의 잘못된 판단으로 성이 함락되고 마는데, 이때 만 명이 넘는 백성들이 목숨을 잃고, 현재 만인의 총에 잠들어 있다.

남원성 전투의 경우 왜군이 승리했지만, 정유재란 전체로 본다면 일본은 패배한 것이나 다름없었다. 우리가 300여 년 동안 그 사실을 망각한 사이 일본은 철저히 남원성에 대한 보복을 계획했다.

일제강점기에 일본은 남원성 북문을 헐어내고 그 자리에 남원역을 만들었다. 이것은 남원성 전투에서 희생된 애국지사들이 묻혀 있는 만인의 총 본 무덤과 남원역사 자리를 완벽하게 갈라놓으려는 계획이었다. 남원역 자리는 남원성 전투 당시 마지막 항전 자리였고, 성민 대다수가 순국한 현장인데, 그곳을 역사로 만들어 후손들이 짓밟고 다니게 한 것이다.

남원인들은 백성들의 차별에도 저항의 목소리를 높였다. 계급사회를 타파하고 개혁을 요구하는 우리나라 최대 농민운동이자 민주화 운동의 시초라고 할 수 있는 동학농민운동의 근거지가 바로 남원 교룡산성이다. 동학의 창시자인 수운 최제우는 교룡산 은적암에서 완성된 동경대전을 교전으로 삼아 동학의 꽃을 피웠다. 동학농민운동은 백성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한 독립운동으로서 그 가치를 더하고 있다.

이후 3.1 만세운동에서도 남원인의 저항정신은 빛을 발했다. 남원시 덕과면 이석기 면장이 주동이 되어 광한루까지 수천 명이 만세 시위를 펼쳐 전북지역에서 가장 활발한 독립운동을 펼쳤다. 특히 의미가 있는 것은 전국 유일한 순수 지방 농민봉기였다는 것이다.

조선 시대부터 시작된 남원의 민주정신은 현대사까지도 이어진다. 4.19 민주화 운동의 도화선이 된 故김주열 열사의 고향이 바로 남원이다. 남원에서는 민주화의 초석이 된 그의 위상을 널리 알리고자 열사의 추모 제향을 1998년 이후 매년 열고 있다. 남원이 명실상부 현대 민주화의 성지임을 알 수 있는 대목이다.

필자가 만난 윤영근 작가의 남원항일운동사에는 남원 애국지사 380명의 기록이 자세히 담겨 남원인의 자긍심이 그대로 녹아있다. 나라를 위한 희생이 비단 남원에 국한되지는 않지만, 고향 사람으로서 남원시민 모두가 같은 마음인 듯하다.

역사는 미래세대의 정체성과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남원은 조선 시대부터 근현대사까지 일제와 강력하게 맞서 싸웠으며 현대 민주화 정신의 뿌리가 깃든 전국 유일무이한 곳이라고 할 수 있다.

호국보훈의 달을 맞아 현 세대 뿐만 아니라 자라나는 미래세대 아이들에게 남원의 정신을 배우고 가르칠 수 있는 보다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여야 할 때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